<공략에 들어가기에 앞서 반드시 확인할 것>
- 해당 공략은 2-10단 글로벌 유저들을 대상으로 작성되었으며, 10단 난이도를 기준으로 함.
- 적들 중 CC가 통하지 않으며, 매우 높은 체력을 가진 적들에게 ‘강적’ 표시함.
- 차단 및 해제가 가능한 기술에 별도 표시함.
- 해당 공략에 첨부된 MDT 풀은 가장 보편적으로 진행되었던 풀을 기준으로 함.
해당 가이드는 작성자의 체험 및 여러 공략들을 참고하여 작성되었기 때문에 누락된 점이 일부 있을 수 있어 정답이 될 수 없으므로 절대 맹신하지 말 것. 게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으로, 공략은 결국 자기가 직접 만들어가는 것이다.
따라서 직접 던전을 많이 돌아볼 것을 권하며, 또 복기를 할 때 이 가이드가 여러분들께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 보랄러스 공성전 >
내부 전쟁 1시즌에서 보통 이상의 난이도를 지닌 던전으로, 유닛이나 보스 개개인은 그렇게 강력하지 않으나 이들의 다양한 스킬들이 시너지를 발생시키므로 실제로는 체감 난이도가 꽤 높게 느껴지는 오묘한 곳이다.
일반 구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2024년 현 시점에서도 루트가 완전히 정형화되지 않았는데, 여기서는 일단 지나가는 모든 적들을 다 때려잡는다는 가정 하에 MDT 풀을 작성하기로 하며, 패스를 추천하고 싶은 풀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한다.
해제 : 독, 저주, 출혈, 격노, 질병(유용함), 정화(선택 사항)
블러드 : 1,2번 풀, 공포의 선장 록우드, 하달 다크패덤 또는 비크고스
1-5. 뼈새김 도살자, 뼈새김 집행자, 검은타르 폭탄마, 무쇠파도 물결구체자, 무쇠파도 약탈단, 성난파도 파쇄꾼
첫 구간이지만 대처가 미흡한 경우 시작부터 난해함을 겪을 수 있는데, 파티 전체에 심각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쏟아지므로 여기서 생존기 사용을 게을리하면 가혹한 대가를 치를 수 있다. 참고로 이 구간에서 등장하는 대부분의 유닛들은 던전이 끝날 때까지 계속 나오므로 대처 방법을 확실히 숙지할 것.
3번 풀은 주변에 주기적으로 순찰하는 무리가 있으므로 아예 4번 풀이 있는 곳까지 끌고 와야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 그냥 투명 물약까지 사용해서 패스해도 된다.
- 뼈새김 도살자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6616
-> 탱에게 있어 가속이 저하되면 매우 위험한데, 탱이 뭔가 크게 얻어맞지도 않았는데 갑자기 픽 쓰러지는 이유는 의외로 이빨 분쇄자의 중첩이 많이 쌓였기 때문일 수도 있다.
- 뼈새김 집행자 (강적)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6627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57732
-> 격렬한 충돌은 현재 대상을 바라보고 사용하는 스킬이므로 탱은 무조건 고개를 돌려줄 것.
또한 분쇄의 고함이 매우 아프므로 탱을 제외한 모두가 여기서 바로 생존기를 켜야 한다.
- 검은타르 폭탄마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6639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56640
-> 매우 까다로운 궁수 유닛으로, 차단이 불가능한 불폭탄이 ‘뼈새김 집행자’의 분쇄의 고함이나 ‘무쇠파도 약탈단’의 쇠 갈고리와 동시에 들어올 수 있는데 이 때가 정말 치명적이다. 따라서 초반 풀을 수행할 때엔 탱을 제외한 모든 파티원들은 항시 생존기나 물약을 사용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또한 불타는 타르는 광역 피해를 입히므로 대상자는 잠시 다른 파티원들과 거리를 벌려야 하며, 이후 발생하는 웅덩이는 딱 2틱만 밟아도 사망하므로 즉시 지역을 벗어날 준비를 할 것.
- 무쇠파도 물결구체자 (차단 필수, 정화)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7063 (차단 가능)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56957 (차단 가능, 정화)
-> 상당히 성가신 이지선다를 강요하는 캐스터 유닛인데, 무작위 대상에게 사용하는 염수 화살도 매우 아프지만 방수 껍질은 시전이 성공한 경우 정화로 빠르게 벗기지 않으면 대참사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리 방수 껍질만 차단할 사람을 한 명 지정해두고, 그 외 염수 화살의 경우 분쇄의 고함이나 쇠 갈고리가 들어오는 매우 위험한 타이밍에 원거리 담당이 주로 차단을 보는 것이 깔끔하다.
- 무쇠파도 약탈단 (강적)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2662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57170
-> 쇠 갈고리와 맹렬한 폭풍우는 시간차를 두고 사용한다. 사실 단일로는 그다지 위협적인 적이 아니지만, 다른 유닛들과 상당한 시너지를 내기 때문에 다소 억울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것.
- 성난파도 파쇄꾼 (출혈)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7270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56709 (출혈)
-> 다른 적들에 비해 간단해 보이지만 사실 해당 구간에서 가장 까다로운 탱버스터 유닛으로, 피해량이 극심한 공격을 지속적으로 가하기 때문에 대처가 쉽지 않다. 강철 매복은 무작위 대상에게 상당한 피해를 입히며, 또 노래하는 강철은 탱에게 매우 끔찍한 피해를 누적시키는 탱버스터 스킬이므로 탱은 여기서 반드시 생존기를 켜야 한다. 혹시 출혈 제거 스킬이 있을 경우 여기서 큰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절대 아끼지 말 것.
- 무쇠파도 화약사수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7641
-> ‘검은타르 폭탄마’의 약화된 버전으로, 용암탄은 무작위 대상에게 발사하므로 여전히 성가시다.
6. 난도질꾼 레드후크 (보스)
공략이 거의 특정 스킬에 의존하게 되므로 모든 파티원들의 즉각적인 반응과 대처가 요구되는 보스인데, 패턴은 단순한 편이지만 또 정형적이지 않으므로 그룹이 미리 진형을 짜서 조직적으로 행동하기보단 그냥 개개인이 감각적으로 움직인다는 느낌을 준다. 각 스킬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7459
가-1) https://www.wowhead.com/ko/spell=257650
가-2) https://www.wowhead.com/ko/spell=256867
-> 탱을 제외한 무작위 대상, 주로 힐러나 원거리 담당에게 20초 동안 시선을 집중하는 스킬. 이동 속도는 처음에는 느린 편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빨라지므로 너무 안일하게 대응하지 말 것. 갈고리 걸기의 지속 시간이 만료되면 곧바로 쇠 갈고리를 시전하며, 또한 갈고리 걸기의 지속 시간 및 끓어오르는 분노의 중첩은 후술할 묵직한 폭탄을 이용하여 초기화시킬 수 있다. 다만 첫 갈고리 걸기 타이밍을 포함하여 중간에 묵직한 폭탄이 전부 소모된 뒤 다시 깔리기까진 약 10초의 텀이 있으므로, 그 때는 대상자가 도망치는 데에만 집중해야 한다.
참고로 갈고리 걸기 대상자는 소멸, 상급 투명화, 그림자 숨기 등으로 갈고리 걸기를 취소시킬 수 있으며, 갈고리 걸기가 이런 식으로 취소된 경우 쇠 갈고리를 날리지 않고 곧바로 다음 무작위 대상에게 다시 갈고리 걸기를 시전한다.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57585
나-1) https://www.wowhead.com/ko/spell=273716
-> 전투 시작 11초, 쿨다운 60초. 대포 포화는 피아를 구분하지 않으며, 이후 전장 내 무작위 위치에 묵직한 폭탄이 3기 배치된다. 이 묵직한 폭탄은 모든 대상이 밟을 수 있으므로, 갈고리 걸기 대상자는 묵직한 폭탄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하고 이를 보스가 밟도록 유도하여 파티의 화력을 집중시키는 것이 전투의 핵심 공략이 된다.
다만 묵직한 폭탄의 제한 시간은 50초이며, 이를 전부 처리하지 못할 경우 파티가 전멸한다는 점을 꼭 기억할 것. 보통 묵직한 폭탄이 아기자기하게 깔리지 않는 이상 보스가 2개까지만 밟게 되며, 제한 시간이 아슬아슬해진 폭탄 1개는 탱 또는 다른 파티원이 강력한 생존기를 켜고 대신 밟아서 제거해줘야 한다.
다) https://www.wowhead.com/ko/spell=272662
다-1) https://www.wowhead.com/ko/spell=257326
-> 갈고리 걸기 지속시간이 만료되거나 보스가 묵직한 폭탄을 밟았을 경우 곧바로 시전하는 카운터.
피투성이 충돌 자체는 피하기에 그리 어렵진 않지만, 평소 위치를 어설프게 잡다가 쇠 갈고리에 잘못 끌려와서 근처의 묵직한 폭탄을 밟을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할 ‘무쇠파도 절단자’가 사용하는 묵직한 베기에 맞을 수도 있으므로 충돌 범위를 벗어날 때에도 주변을 잘 살펴야 한다.
마) https://www.wowhead.com/ko/spell=274002
- 무쇠파도 절단자 (강적)
마-1) https://www.wowhead.com/ko/spell=257288
- 무쇠파도 화약사수
마-2) https://www.wowhead.com/ko/spell=257641
-> 보스의 체력이 75%, 50%, 33%로 떨어지면 무쇠파도 절단자 및 무쇠파도 화약사수를 각각 1기씩 소환한다.
무쇠파도 화약사수는 궁수 유닛이라 무작위 대상을 공격하므로 우선적으로 제거해야 하지만, 무쇠파도 절단자가 사용하는 묵직한 베기는 기본적으로 탱을 바라보고 사용하는 스킬이므로 파티에 따라서는 그냥 탱이 혼자 이들을 상대하면서 고개만 구석으로 돌려주고 다른 파티원들은 그냥 계속 보스를 공격하는 공략을 따르기도 한다.
스킬 타임테이블 : 나) 반복.
묵직한 폭탄이 전투의 거의 모든 것을 담당하므로, 폭탄 위치를 기억하고 움직이면 별로 어려운 점은 없다. 다만 무쇠파도 절단자가 많이 쌓인 전투 후반부엔 묵직한 베기가 전장 전 방향에 튈 수 있으므로 이 점은 주의할 것.
7-12. 무쇠파도 저주칼날, 애쉬베인 지휘관, 무쇠파도 화약사수, 애쉬베인 관측병, 애쉬베인 갑판원, 애쉬베인 포병
차단만 잘 이루어진다면 크게 어려울 것은 없는 구간이다. 파티 수준에 따라서는 7번 풀과 8번 풀을 같이 진행할 수 있으나, 탱에게 끔찍한 부하가 걸리게 되므로 탱은 여기서 모든 생존기를 다 털 각오를 해야 한다.
10번 구간은 사격 구간이므로 탱의 이동기가 부실하다면 얌전히 한 타임 쉬고 갈 것. 또한 이후의 풀을 몇 개 패스한다면 10번 풀 이후 좌측에 있는 무리도 잡고 가야 할 수 있다.
- 무쇠파도 저주칼날 (저주)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7168 (저주)
-> 저주는 중첩되므로 해제가 불가능한 경우 탱에게 꽤 위협적인데, 특히 노래하는 강철이 같이 들어올 경우 탱은 즉시 가장 강력한 생존기를 켜야 한다.
- 애쉬베인 지휘관 (강적, 차단 필수, 정화)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454438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75826 (차단 가능, 정화)
-> 아제라이트 폭약의 대상자는 다른 파티원과 거리를 두면 되며, 참고로 소멸이나 상급 투명화, 그림자 숨기, 죽은척하기 등의 스킬로 취소시킬 수 있으니 유용하게 사용할 것.
강화의 외침은 단일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대부분 풀에서 ‘무쇠파도 물결구체자’와 함께 있는 경우가 많아 차단이 샐 수 있으므로 보통 탱이 전담해서 차단을 보는 편이다.
- 애쉬베인 관측병 (강적)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2421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72418
-> 발견된 대포는 실제로 대포가 바닥에 떨어지기까진 약간의 시간차가 있으므로, 정확히 바닥이 두 번 발생할 때마다 움직이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또한 관측병은 기본 공격 능력 자체가 없는 대신 자신이 직접 공격 대상이 되면 도약 후퇴를 사용하므로, 전투 내내 감속 효과를 계속 가하거나 또는 풀 내의 다른 유닛을 대신 대상으로 잡고 간접적으로 피해를 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 애쉬베인 갑판원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68230
-> 진홍빛 휩쓸기는 출혈 효과가 아니므로 해제가 불가능하다. 다행히 해당 유닛이 등장하는 풀은 탱에게 큰 부담이 되는 구간이 아니므로 평범하게 대처하면 된다.
- 애쉬베인 포병 (강적)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68260
-> 단일로는 피하기 어렵지 않지만, 다른 유닛 또는 보스의 스킬과 상당한 시너지를 내므로 주의할 것.
13. 공포의 선장 록우드 (보스)
패턴이 매우 단순하지만 주기적으로 파티 전체에 큰 피해를 주므로 절대 무시할 수 없는 보스다. 각 스킬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80389
-> 현재 대상에게 주로 시전하는 필러 스킬. 피해량이 높지 않으므로 탱이 혼자 버틸 수 있다.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69029
-> 전투 시작 5초, 쿨다운 18초. 현재 대상을 바라보고 사용하는 스킬이므로 탱은 평소에 고개를 돌려주면 된다.
다) https://www.wowhead.com/ko/spell=463182
-> 전투 시작 8초, 쿨다운 18초. 무작위 대상에게 사용하는 해당 전투에서 가장 위협적인 스킬. 유탄은 대상과 가장 가까운 3명의 다른 파티원들에게도 튕겨서 대상과 동일한 피해를 입히며, 누적 피해량이 정말 대단한 수준이므로 대상이 된 4명은 위급 시 생존기를 꼭 켜야 한다. 이 스킬 때문에 모든 파티원들은 전투 시 서로 근접해있어야 하는데, 그래야 파티가 유탄 연쇄 대상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을 첨부한다.
만약 파티원 중 한 명이 생존기를 다 소모하여 위험해진 경우, 그림처럼 대상과 거리를 크게 벌리면 유탄 연쇄 대상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관점에서 생존 확률이 크게 올라간다. 따라서 불타는 유탄의 피해량이 크게 올라가는 높은 단수에서는 이러한 진형을 유지하는 것을 추천한다.
라) https://www.wowhead.com/ko/spell=272422
-> 전투 시작 25초, 쿨다운 24초. 파티원 전원에게 발견된 대포 효과를 주는 스킬. 역시 대포가 실제로 바닥에 떨어지기까진 약간의 시간차가 있으므로, 정확히 바닥이 두 번 발생할 때마다 움직이면 동선을 단축시킬 수 있다.
마) https://www.wowhead.com/ko/spell=272471
마-1) https://www.wowhead.com/ko/spell=273470
-> 보스는 감속 효과에 걸려있지 않으면 회피를 지속적으로 시도하여 파티와 거리를 두려고 노력하며, 또한 근처에 파티원이 아무도 없으면 탱을 제외한 무작위 대상에게 즉사기에 해당하는 복부 사격을 시전한다. 복부 사격은 누적 피해량이 사실상 사형 선고에 가까운 수준이므로 적어도 탱만큼은 항상 보스와 가까이 근접하여 복부 사격이 시전되는 것을 원천 차단해야 하며, 만약 복부 사격이 시전된다면 대상은 그 즉시 가장 강력한 생존기 및 물약을 다 사용하여 어떻게든 살아남던가, 차라리 그냥 죽고 전투 중 부활을 따로 받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
바) https://www.wowhead.com/ko/spell=268752
바-1) https://www.wowhead.com/ko/spell=268443
-> 보스의 체력이 66%, 33%로 떨어지면 무쇠파도 갑판원 2기와 무쇠파도 포병 1기를 소환하고 자신은 배로 도망친다. 증원된 유닛들 중 무쇠파도 포병을 제거하면 근처에 오브젝트가 생성되는데, 파티원들 중 아무나 이를 클릭하고 엑스트라 버튼을 누르면 보스가 다시 등장하여 전투가 재개된다. 다만 공포의 연발 사격의 범위가 전장의 거의 전 범위를 커버하며, 무쇠파도 포병의 측면 공격도 성가시기 그지없으므로 회피에는 충분히 신경써야 한다.
스킬 타임테이블 : 나)-다)-라) 이후 쿨다운마다 사용.
18초마다 들어오는 다)가 정말 위협적이므로, 힐러 및 딜러들은 생존기 및 힐업기 배분을 매우 빡빡하게 짜야 한다.
보스가 중간에 후퇴하는 시점이 사실상 파티가 잠깐 쉬는 타이밍이기도 하므로, 공포의 연발 사격을 조금 오래 끄는 한이 있더라도 파티의 최대 화력은 보스에게만 온전히 집중시키는 것이 좋다.
14-21. 항만의 시궁쥐단 파괴자, 항만의 시궁쥐단 해적단원, 항만의 시궁쥐단 강탈자, 항만의 시궁쥐단 폭풍우소환사, 항만의 시궁쥐단 자객, 애쉬베인 저격수, 애쉬베인 침략자, 애쉬베인 파괴자
지금까지 등장했던 모든 적들이 총출동하는 구간이다. 역시 차단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어려움을 겪게 되며, 16번 풀과 20번 풀은 탱이 매우 아프게 맞는 구간이므로 질병 해제나 독 해제가 없다면 생존에 유의할 것.
17번 풀은 단수가 높아지면 통곡의 벽으로 등극하는 아주 위험한 곳이므로 가급적 정신의 위안 또는 은폐의 장막 등으로 패스하는 것을 추천하며, 21번 풀은 병력 게이지를 다 채운 경우 생략하고 바로 3번째 보스로 진입할 수 있다.
- 항만의 시궁쥐단 파괴자 (강적)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2711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57169
-> 분쇄의 격돌은 파티 전체에게 매우 큰 피해를 가하지만, 단타로 끝나기 때문에 사실 단일로는 생존기를 쓸 필요까지는 없을 수 있다. 다만 다른 유닛의 스킬이 차단되지 않고 같이 들어올 경우 갑자기 재미없어지므로, 힐러는 항상 파티의 체력을 빠르게 채울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공포의 포효는 간단한 범위 기술이므로 꼭 피할 것.
- 항만의 시궁쥐단 해적단원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2546
-> 바나나 광란은 피해량보다도 주위에 바나나를 남긴다는 것이 더 성가시다. 바닥에 깔린 바나나는 주변 나무로 인해 가려져서 잘 보이지 않으므로 주의할 것.
- 항만의 시궁쥐단 강탈자 (차단 필수, 질병)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454440 (차단 가능, 질병)
-> 무작위 대상에게 사용하는 고약한 구토의 첫 타는 그리 아프지 않지만 누적 피해량이 상당하여 필요 시 생존기를 켜야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 순위 자체는 물화살보다도 더 우선되지만, 시전 빈도는 낮은 편이므로 CC로 잠깐 끊어서 시간을 벌 수 있다.
- 항만의 시궁쥐단 폭풍우소환사 (차단 필수, 마법)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2581 (차단 가능)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72571 (차단 가능, 마법)
-> 숨막히는 물은 거의 대부분 힐러를 노리고 사용하는데, 침묵의 지속시간이 매우 긴 편이라 상황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으므로 최우선으로 차단할 것. 물화살도 매우 아프지만 숨막히는 물이나 고약한 구토보다는 덜 위험하므로 차단 및 CC는 우선순위를 생각하고 신중하게 사용할 것.
- 항만의 시궁쥐단 자객 (질병)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2588 (질병)
-> 질병 해제가 없을 경우 해당 구간에서 매우 위협적인 탱버스터 유닛. 썩어가는 상처는 치유 감소 효과 및 누적 피해량도 상당한데다 중첩까지 되므로 탱은 그 즉시 가장 강력한 생존기를 켜서 지속시간 내내 어떻게든 살아남아야 하며, 힐러도 밑 빠진 독에 물을 더 퍼붓는 심정으로 탱을 최대한 살려내야 한다. 물론 질병 해제가 가능한 경우 갑자기 별 볼일 없는 유닛으로 전락하게 된다.
- 애쉬베인 저격수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2528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72542
-> 해당 구간에서 가장 까다로운 궁수 유닛. 4명의 저격수가 한 번에 발사하는 사격 및 톱날 유탄은 해당 던전에서 가장 위협적인 스킬로 악명이 높다. 따라서 파티가 가지고 있는 광역 CC를 순차적으로 퍼부어 이들의 공격을 최대한 방해해야 하며, 또한 표기되지 않았지만 톱날 유탄은 투사체가 튕기는 효과가 있어서 대상과 주위를 모두 공격하므로 파티원들은 서로 산개해있어야 한다.
여기까지 힘들게 진행해온 파티를 붕괴시키는 가장 악질적인 유닛이므로, 17번 풀은 은폐의 장막이나 사제의 정신의 위안, 또는 투명 물약을 이용해 패스하는 것을 강력히 추천한다.
- 애쉬베인 침략자 (독)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5835 (독)
-> 탱을 아프게 때리는 탱버스터 유닛. 독 해제가 가능하다면 3중첩 이상일 때 해제하면 되며, 만약 해제가 불가능하다면 탱은 생존기를 사용하던가 독을 칠하는 것을 보고 바로 드리블을 쳐야 한다.
- 애쉬베인 파괴자 (격노)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2888 (격노)
-> 탱버스터 유닛이긴 한데 침략자에 비해선 위험도가 낮은 편이며, 애초에 개체수가 별로 없는데다 야성은 중첩도 되지 않아서 존재감이 없다. 혹시 격노 해제가 불가능하다면 필요 시 탱이 드리블을 치는 것으로 대응하면 된다.
22. 하달 다크패덤 (보스)
패턴이 단 3개밖에 없어 극도로 단순하지만, 파티 전체에게 피할 수 없는 피해가 지속적으로 들어오므로 생각보다 귀찮은 보스다.
또한 각 스킬의 쿨다운이 미묘하게 달라 타임테이블이 엇박으로 돌아가며, 또 한 번은 위험한 스킬이 연속으로 들어오므로 탱은 해당 타이밍을 반드시 숙지하고 위치를 잘 잡을 것. 각 스킬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7882
-> 전투 시작 7초, 쿨다운 20초. 간단한 바닥 스킬이지만 분출 시 파티 전체에 매우 큰 피해를 입히는 스킬이므로 필요 시 꼭 생존기를 사용할 것.
또한 이로 인해 짠물 웅덩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만약 웅덩이가 전장 가운데에 있는 동상 근처에서 생성되면 이후 굽이치는 파도를 피할 때 큰 방해가 되므로 모든 파티원들은 평소엔 동상에서 조금 거리를 두고 자리를 잡는 것이 좋다.
참고로 생성된 웅덩이는 굽이치는 파도에 의해 모두 제거된다.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57862
-> 전투 시작 12초, 쿨다운 22초. 현재 대상을 바라보고 사용하는 스킬이므로 탱은 항상 보스의 고개를 구석으로 향하도록 돌려줄 것. 평소엔 그다지 위협적인 스킬이 아니지만, 굽이치는 파도와 같이 들어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땐 모두가 정말 조심해야 한다.
다) https://www.wowhead.com/ko/spell=276068
-> 전투 시작 23초, 쿨다운 48초. 2회에 걸쳐 무작위로 한 쪽에서 파도를 소환하는데, 파도는 전장 전체를 휩쓸기 때문에 모든 파티원들은 반드시 전장 가운데에 있는 동상 뒤에 숨어서 파도를 피해야 한다. 사실 파도 자체는 익숙해지면 피하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지만, 세 번째 굽이치는 파도 이후 곧바로 밀어닥치는 물결이 들어올 때가 바로 이 전투에서 가장 위험한 타이밍이 된다. 이 경우 탱은 파도를 피하더라도 보스가 바라보는 방향을 계속 외곽으로 조정해서 다른 파티원들이 굽이치는 파도와 밀어닥치는 물결 둘 다 피할 수 있는 각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스킬 타임테이블 : 가)-나)-다) 이후 쿨다운마다 사용.
쿨다운이 제각각 따로 돌기 때문에 그냥 보스 마음대로 스킬을 사용한다는 느낌이다. 힐러와 딜러들은 약 20초마다 들어오는 가)에 대비하면서 생존기를 잘 배분해둘 것.
23. 비크고스 (보스)
보스와 직접 싸우는 것이 아니라 전장 내 두 개의 촉수를 제거하고 대포를 발사한 뒤 시계 방향으로 전장을 계속 옮기면 되는 전투다. 지속적으로 파티에 상당한 피해가 누적되며, 특히 무작위 두 명에게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여기선 마법을 해제할 수 있는 딜러인 흑마법사가 대활약을 펼칠 수 있다. 각 스킬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4991 (마법)
-> 전투 시작 3초, 쿨다운 24초. 무작위 두 명의 대상에게 사용하는 이 전투에서 가장 위협적인 스킬로, 힐러는 즉시 한 명을 해제하고 나머지 한 명은 해제 쿨다운이 오면 바로 해제해야 한다. 만약 파티에 흑마법사가 있다면 힐러가 먼저 해제하고, 흑마법사가 남은 한 명을 바로 해제하는 편.
해제 순서가 뒤로 밀린 대상은 지속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게 되므로 그동안 힐러가 치유를 퍼붓거나 생존기를 사용하여 어떻게든 버텨야 하는데, 보통 해제 우선순위는 생존이 어려운 딜러->힐러->생존이 쉬운 딜러->탱 순으로 잡는 것이 좋다.
다만 썩은 물은 해제 시 대상 주위에 즉사에 가까운 피해를 입히므로 힐러는 대상을 해제할 때 주변에 다른 파티원이 있는지 꼭 확인해야 하며, 기본적으로 모든 파티원들은 서로 항상 약간의 거리를 두어 산개해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할 것.
참고로 썩은 물은 투사체가 날아오는 속도가 매우 느린 편이라 대상을 어느 정도 미리 알 수 있으므로 대마법 보호막과 같은 마법 면역 스킬을 빠르게 사용하여 아예 차단하는 순수 실력을 선보일 수도 있다.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70185
-> 전투 시작 6초, 쿨다운 24초. 무작위 대상이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매우 넓은 부채꼴 범위를 공격하는 바닥 스킬인데, 다만 심연의 부름이 실제로 발생하는 위치는 어느 정도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장마다 심연의 부름이 닿지 않는 안전한 장소가 몇 군데 있긴 하다. 이를 눈여겨보았다가 잘 활용할 것.
다) 파괴의 공포
다-1) https://www.wowhead.com/ko/spell=269266
다-2) https://www.wowhead.com/ko/spell=270590
-> 전투 시작 8초, 쿨다운 18/13/10초. 내려치는 파티 전체에 상당한 피해를 입히는 매우 성가신 스킬이지만, 다행히 넉백 없이 순수하게 피해만 들어오므로 힐러가 대처하기엔 그리 어렵지 않다.
다만 전장이 진행될수록 내려치기의 쿨다운이 점점 줄어든다는 점은 꼭 기억할 것. 전장을 옮겨 다닐수록 이상하게 회복이 더 어려워지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으며, 또한 썩은 물과 내려치기가 겹치는 타이밍엔 생존이 매우 어려워지므로 대상자는 이 때 반드시 생존기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선체 분쇄자는 근접 거리에 아무도 없을 때에만 시전하는 전멸기이므로 탱은 파괴의 공포가 살아있는 동안엔 절대 자리를 이탈하지 않아야 하는데, 만약 심연의 부름 때문에 잠시 자리를 벗어나야 될 경우엔 꼭 도발을 사용하여 파괴의 공포의 시선을 계속 붙잡아두어야 한다.
라) 옭아매는 공포
라-1) https://www.wowhead.com/ko/spell=269416
-> 옭아매는 공포 자체에는 어떤 공격 능력도 없으나, 대포를 수리할 기술자가 붙잡혀 있으므로 어쨌든 제거 대상이 된다.
다만 옭아매는 공포를 먼저 제거한다고 해도 파괴의 공포가 아직 전장에 남아있다면 대포를 발사할 수가 없으므로, 내려치기로 계속 심각한 피해를 주는 파괴의 공포를 먼저 제거하고 이후에 옭아매는 공포를 공격하는 것이 올바른 순서가 된다.
마) https://www.wowhead.com/ko/spell=279897
마-1) https://www.wowhead.com/ko/spell=270624
-> 물에 너무 오래 빠져있으면 분쇄의 포옹에 걸려 사망하게 되니 주의할 것. 참고로 수면 보행은 여기서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스킬 타임테이블 : 가)-나) 반복. 다)는 독립시행.
가)를 해제하는 것이 전투의 핵심이므로 생존기 배분을 잘 해야 살아남을 수 있으며, 혹시 해제를 두 명이 할 수 있게 되면 전투가 급격히 쉬워지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공략에 들어가기에 앞서 반드시 확인할 것>
- 해당 공략은 2-10단 글로벌 유저들을 대상으로 작성되었으며, 10단 난이도를 기준으로 함.
- 적들 중 CC가 통하지 않으며, 매우 높은 체력을 가진 적들에게 ‘강적’ 표시함.
- 차단 및 해제가 가능한 기술에 별도 표시함.
- 해당 공략에 첨부된 MDT 풀은 가장 보편적으로 진행되었던 풀을 기준으로 함.
해당 가이드는 작성자의 체험 및 여러 공략들을 참고하여 작성되었기 때문에 누락된 점이 일부 있을 수 있어 정답이 될 수 없으므로 절대 맹신하지 말 것. 게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으로, 공략은 결국 자기가 직접 만들어가는 것이다.
따라서 직접 던전을 많이 돌아볼 것을 권하며, 또 복기를 할 때 이 가이드가 여러분들께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 보랄러스 공성전 >
내부 전쟁 1시즌에서 보통 이상의 난이도를 지닌 던전으로, 유닛이나 보스 개개인은 그렇게 강력하지 않으나 이들의 다양한 스킬들이 시너지를 발생시키므로 실제로는 체감 난이도가 꽤 높게 느껴지는 오묘한 곳이다.
일반 구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2024년 현 시점에서도 루트가 완전히 정형화되지 않았는데, 여기서는 일단 지나가는 모든 적들을 다 때려잡는다는 가정 하에 MDT 풀을 작성하기로 하며, 패스를 추천하고 싶은 풀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한다.
해제 : 독, 저주, 출혈, 격노, 질병(유용함), 정화(선택 사항)
블러드 : 1,2번 풀, 공포의 선장 록우드, 하달 다크패덤 또는 비크고스
1-5. 뼈새김 도살자, 뼈새김 집행자, 검은타르 폭탄마, 무쇠파도 물결구체자, 무쇠파도 약탈단, 성난파도 파쇄꾼
첫 구간이지만 대처가 미흡한 경우 시작부터 난해함을 겪을 수 있는데, 파티 전체에 심각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쏟아지므로 여기서 생존기 사용을 게을리하면 가혹한 대가를 치를 수 있다. 참고로 이 구간에서 등장하는 대부분의 유닛들은 던전이 끝날 때까지 계속 나오므로 대처 방법을 확실히 숙지할 것.
3번 풀은 주변에 주기적으로 순찰하는 무리가 있으므로 아예 4번 풀이 있는 곳까지 끌고 와야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 그냥 투명 물약까지 사용해서 패스해도 된다.
- 뼈새김 도살자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6616
-> 탱에게 있어 가속이 저하되면 매우 위험한데, 탱이 뭔가 크게 얻어맞지도 않았는데 갑자기 픽 쓰러지는 이유는 의외로 이빨 분쇄자의 중첩이 많이 쌓였기 때문일 수도 있다.
- 뼈새김 집행자 (강적)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6627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57732
-> 격렬한 충돌은 현재 대상을 바라보고 사용하는 스킬이므로 탱은 무조건 고개를 돌려줄 것.
또한 분쇄의 고함이 매우 아프므로 탱을 제외한 모두가 여기서 바로 생존기를 켜야 한다.
- 검은타르 폭탄마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6639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56640
-> 매우 까다로운 궁수 유닛으로, 차단이 불가능한 불폭탄이 ‘뼈새김 집행자’의 분쇄의 고함이나 ‘무쇠파도 약탈단’의 쇠 갈고리와 동시에 들어올 수 있는데 이 때가 정말 치명적이다. 따라서 초반 풀을 수행할 때엔 탱을 제외한 모든 파티원들은 항시 생존기나 물약을 사용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또한 불타는 타르는 광역 피해를 입히므로 대상자는 잠시 다른 파티원들과 거리를 벌려야 하며, 이후 발생하는 웅덩이는 딱 2틱만 밟아도 사망하므로 즉시 지역을 벗어날 준비를 할 것.
- 무쇠파도 물결구체자 (차단 필수, 정화)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7063 (차단 가능)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56957 (차단 가능, 정화)
-> 상당히 성가신 이지선다를 강요하는 캐스터 유닛인데, 무작위 대상에게 사용하는 염수 화살도 매우 아프지만 방수 껍질은 시전이 성공한 경우 정화로 빠르게 벗기지 않으면 대참사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리 방수 껍질만 차단할 사람을 한 명 지정해두고, 그 외 염수 화살의 경우 분쇄의 고함이나 쇠 갈고리가 들어오는 매우 위험한 타이밍에 원거리 담당이 주로 차단을 보는 것이 깔끔하다.
- 무쇠파도 약탈단 (강적)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2662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57170
-> 쇠 갈고리와 맹렬한 폭풍우는 시간차를 두고 사용한다. 사실 단일로는 그다지 위협적인 적이 아니지만, 다른 유닛들과 상당한 시너지를 내기 때문에 다소 억울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것.
- 성난파도 파쇄꾼 (출혈)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7270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56709 (출혈)
-> 다른 적들에 비해 간단해 보이지만 사실 해당 구간에서 가장 까다로운 탱버스터 유닛으로, 피해량이 극심한 공격을 지속적으로 가하기 때문에 대처가 쉽지 않다. 강철 매복은 무작위 대상에게 상당한 피해를 입히며, 또 노래하는 강철은 탱에게 매우 끔찍한 피해를 누적시키는 탱버스터 스킬이므로 탱은 여기서 반드시 생존기를 켜야 한다. 혹시 출혈 제거 스킬이 있을 경우 여기서 큰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절대 아끼지 말 것.
- 무쇠파도 화약사수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7641
-> ‘검은타르 폭탄마’의 약화된 버전으로, 용암탄은 무작위 대상에게 발사하므로 여전히 성가시다.
6. 난도질꾼 레드후크 (보스)
공략이 거의 특정 스킬에 의존하게 되므로 모든 파티원들의 즉각적인 반응과 대처가 요구되는 보스인데, 패턴은 단순한 편이지만 또 정형적이지 않으므로 그룹이 미리 진형을 짜서 조직적으로 행동하기보단 그냥 개개인이 감각적으로 움직인다는 느낌을 준다. 각 스킬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7459
가-1) https://www.wowhead.com/ko/spell=257650
가-2) https://www.wowhead.com/ko/spell=256867
-> 탱을 제외한 무작위 대상, 주로 힐러나 원거리 담당에게 20초 동안 시선을 집중하는 스킬. 이동 속도는 처음에는 느린 편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빨라지므로 너무 안일하게 대응하지 말 것. 갈고리 걸기의 지속 시간이 만료되면 곧바로 쇠 갈고리를 시전하며, 또한 갈고리 걸기의 지속 시간 및 끓어오르는 분노의 중첩은 후술할 묵직한 폭탄을 이용하여 초기화시킬 수 있다. 다만 첫 갈고리 걸기 타이밍을 포함하여 중간에 묵직한 폭탄이 전부 소모된 뒤 다시 깔리기까진 약 10초의 텀이 있으므로, 그 때는 대상자가 도망치는 데에만 집중해야 한다.
참고로 갈고리 걸기 대상자는 소멸, 상급 투명화, 그림자 숨기 등으로 갈고리 걸기를 취소시킬 수 있으며, 갈고리 걸기가 이런 식으로 취소된 경우 쇠 갈고리를 날리지 않고 곧바로 다음 무작위 대상에게 다시 갈고리 걸기를 시전한다.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57585
나-1) https://www.wowhead.com/ko/spell=273716
-> 전투 시작 11초, 쿨다운 60초. 대포 포화는 피아를 구분하지 않으며, 이후 전장 내 무작위 위치에 묵직한 폭탄이 3기 배치된다. 이 묵직한 폭탄은 모든 대상이 밟을 수 있으므로, 갈고리 걸기 대상자는 묵직한 폭탄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하고 이를 보스가 밟도록 유도하여 파티의 화력을 집중시키는 것이 전투의 핵심 공략이 된다.
다만 묵직한 폭탄의 제한 시간은 50초이며, 이를 전부 처리하지 못할 경우 파티가 전멸한다는 점을 꼭 기억할 것. 보통 묵직한 폭탄이 아기자기하게 깔리지 않는 이상 보스가 2개까지만 밟게 되며, 제한 시간이 아슬아슬해진 폭탄 1개는 탱 또는 다른 파티원이 강력한 생존기를 켜고 대신 밟아서 제거해줘야 한다.
다) https://www.wowhead.com/ko/spell=272662
다-1) https://www.wowhead.com/ko/spell=257326
-> 갈고리 걸기 지속시간이 만료되거나 보스가 묵직한 폭탄을 밟았을 경우 곧바로 시전하는 카운터.
피투성이 충돌 자체는 피하기에 그리 어렵진 않지만, 평소 위치를 어설프게 잡다가 쇠 갈고리에 잘못 끌려와서 근처의 묵직한 폭탄을 밟을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할 ‘무쇠파도 절단자’가 사용하는 묵직한 베기에 맞을 수도 있으므로 충돌 범위를 벗어날 때에도 주변을 잘 살펴야 한다.
마) https://www.wowhead.com/ko/spell=274002
- 무쇠파도 절단자 (강적)
마-1) https://www.wowhead.com/ko/spell=257288
- 무쇠파도 화약사수
마-2) https://www.wowhead.com/ko/spell=257641
-> 보스의 체력이 75%, 50%, 33%로 떨어지면 무쇠파도 절단자 및 무쇠파도 화약사수를 각각 1기씩 소환한다.
무쇠파도 화약사수는 궁수 유닛이라 무작위 대상을 공격하므로 우선적으로 제거해야 하지만, 무쇠파도 절단자가 사용하는 묵직한 베기는 기본적으로 탱을 바라보고 사용하는 스킬이므로 파티에 따라서는 그냥 탱이 혼자 이들을 상대하면서 고개만 구석으로 돌려주고 다른 파티원들은 그냥 계속 보스를 공격하는 공략을 따르기도 한다.
스킬 타임테이블 : 나) 반복.
묵직한 폭탄이 전투의 거의 모든 것을 담당하므로, 폭탄 위치를 기억하고 움직이면 별로 어려운 점은 없다. 다만 무쇠파도 절단자가 많이 쌓인 전투 후반부엔 묵직한 베기가 전장 전 방향에 튈 수 있으므로 이 점은 주의할 것.
7-12. 무쇠파도 저주칼날, 애쉬베인 지휘관, 무쇠파도 화약사수, 애쉬베인 관측병, 애쉬베인 갑판원, 애쉬베인 포병
차단만 잘 이루어진다면 크게 어려울 것은 없는 구간이다. 파티 수준에 따라서는 7번 풀과 8번 풀을 같이 진행할 수 있으나, 탱에게 끔찍한 부하가 걸리게 되므로 탱은 여기서 모든 생존기를 다 털 각오를 해야 한다.
10번 구간은 사격 구간이므로 탱의 이동기가 부실하다면 얌전히 한 타임 쉬고 갈 것. 또한 이후의 풀을 몇 개 패스한다면 10번 풀 이후 좌측에 있는 무리도 잡고 가야 할 수 있다.
- 무쇠파도 저주칼날 (저주)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7168 (저주)
-> 저주는 중첩되므로 해제가 불가능한 경우 탱에게 꽤 위협적인데, 특히 노래하는 강철이 같이 들어올 경우 탱은 즉시 가장 강력한 생존기를 켜야 한다.
- 애쉬베인 지휘관 (강적, 차단 필수, 정화)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454438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75826 (차단 가능, 정화)
-> 아제라이트 폭약의 대상자는 다른 파티원과 거리를 두면 되며, 참고로 소멸이나 상급 투명화, 그림자 숨기, 죽은척하기 등의 스킬로 취소시킬 수 있으니 유용하게 사용할 것.
강화의 외침은 단일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대부분 풀에서 ‘무쇠파도 물결구체자’와 함께 있는 경우가 많아 차단이 샐 수 있으므로 보통 탱이 전담해서 차단을 보는 편이다.
- 애쉬베인 관측병 (강적)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2421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72418
-> 발견된 대포는 실제로 대포가 바닥에 떨어지기까진 약간의 시간차가 있으므로, 정확히 바닥이 두 번 발생할 때마다 움직이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또한 관측병은 기본 공격 능력 자체가 없는 대신 자신이 직접 공격 대상이 되면 도약 후퇴를 사용하므로, 전투 내내 감속 효과를 계속 가하거나 또는 풀 내의 다른 유닛을 대신 대상으로 잡고 간접적으로 피해를 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 애쉬베인 갑판원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68230
-> 진홍빛 휩쓸기는 출혈 효과가 아니므로 해제가 불가능하다. 다행히 해당 유닛이 등장하는 풀은 탱에게 큰 부담이 되는 구간이 아니므로 평범하게 대처하면 된다.
- 애쉬베인 포병 (강적)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68260
-> 단일로는 피하기 어렵지 않지만, 다른 유닛 또는 보스의 스킬과 상당한 시너지를 내므로 주의할 것.
13. 공포의 선장 록우드 (보스)
패턴이 매우 단순하지만 주기적으로 파티 전체에 큰 피해를 주므로 절대 무시할 수 없는 보스다. 각 스킬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80389
-> 현재 대상에게 주로 시전하는 필러 스킬. 피해량이 높지 않으므로 탱이 혼자 버틸 수 있다.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69029
-> 전투 시작 5초, 쿨다운 18초. 현재 대상을 바라보고 사용하는 스킬이므로 탱은 평소에 고개를 돌려주면 된다.
다) https://www.wowhead.com/ko/spell=463182
-> 전투 시작 8초, 쿨다운 18초. 무작위 대상에게 사용하는 해당 전투에서 가장 위협적인 스킬. 유탄은 대상과 가장 가까운 3명의 다른 파티원들에게도 튕겨서 대상과 동일한 피해를 입히며, 누적 피해량이 정말 대단한 수준이므로 대상이 된 4명은 위급 시 생존기를 꼭 켜야 한다. 이 스킬 때문에 모든 파티원들은 전투 시 서로 근접해있어야 하는데, 그래야 파티가 유탄 연쇄 대상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을 첨부한다.
만약 파티원 중 한 명이 생존기를 다 소모하여 위험해진 경우, 그림처럼 대상과 거리를 크게 벌리면 유탄 연쇄 대상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관점에서 생존 확률이 크게 올라간다. 따라서 불타는 유탄의 피해량이 크게 올라가는 높은 단수에서는 이러한 진형을 유지하는 것을 추천한다.
라) https://www.wowhead.com/ko/spell=272422
-> 전투 시작 25초, 쿨다운 24초. 파티원 전원에게 발견된 대포 효과를 주는 스킬. 역시 대포가 실제로 바닥에 떨어지기까진 약간의 시간차가 있으므로, 정확히 바닥이 두 번 발생할 때마다 움직이면 동선을 단축시킬 수 있다.
마) https://www.wowhead.com/ko/spell=272471
마-1) https://www.wowhead.com/ko/spell=273470
-> 보스는 감속 효과에 걸려있지 않으면 회피를 지속적으로 시도하여 파티와 거리를 두려고 노력하며, 또한 근처에 파티원이 아무도 없으면 탱을 제외한 무작위 대상에게 즉사기에 해당하는 복부 사격을 시전한다. 복부 사격은 누적 피해량이 사실상 사형 선고에 가까운 수준이므로 적어도 탱만큼은 항상 보스와 가까이 근접하여 복부 사격이 시전되는 것을 원천 차단해야 하며, 만약 복부 사격이 시전된다면 대상은 그 즉시 가장 강력한 생존기 및 물약을 다 사용하여 어떻게든 살아남던가, 차라리 그냥 죽고 전투 중 부활을 따로 받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
바) https://www.wowhead.com/ko/spell=268752
바-1) https://www.wowhead.com/ko/spell=268443
-> 보스의 체력이 66%, 33%로 떨어지면 무쇠파도 갑판원 2기와 무쇠파도 포병 1기를 소환하고 자신은 배로 도망친다. 증원된 유닛들 중 무쇠파도 포병을 제거하면 근처에 오브젝트가 생성되는데, 파티원들 중 아무나 이를 클릭하고 엑스트라 버튼을 누르면 보스가 다시 등장하여 전투가 재개된다. 다만 공포의 연발 사격의 범위가 전장의 거의 전 범위를 커버하며, 무쇠파도 포병의 측면 공격도 성가시기 그지없으므로 회피에는 충분히 신경써야 한다.
스킬 타임테이블 : 나)-다)-라) 이후 쿨다운마다 사용.
18초마다 들어오는 다)가 정말 위협적이므로, 힐러 및 딜러들은 생존기 및 힐업기 배분을 매우 빡빡하게 짜야 한다.
보스가 중간에 후퇴하는 시점이 사실상 파티가 잠깐 쉬는 타이밍이기도 하므로, 공포의 연발 사격을 조금 오래 끄는 한이 있더라도 파티의 최대 화력은 보스에게만 온전히 집중시키는 것이 좋다.
14-21. 항만의 시궁쥐단 파괴자, 항만의 시궁쥐단 해적단원, 항만의 시궁쥐단 강탈자, 항만의 시궁쥐단 폭풍우소환사, 항만의 시궁쥐단 자객, 애쉬베인 저격수, 애쉬베인 침략자, 애쉬베인 파괴자
지금까지 등장했던 모든 적들이 총출동하는 구간이다. 역시 차단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어려움을 겪게 되며, 16번 풀과 20번 풀은 탱이 매우 아프게 맞는 구간이므로 질병 해제나 독 해제가 없다면 생존에 유의할 것.
17번 풀은 단수가 높아지면 통곡의 벽으로 등극하는 아주 위험한 곳이므로 가급적 정신의 위안 또는 은폐의 장막 등으로 패스하는 것을 추천하며, 21번 풀은 병력 게이지를 다 채운 경우 생략하고 바로 3번째 보스로 진입할 수 있다.
- 항만의 시궁쥐단 파괴자 (강적)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2711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57169
-> 분쇄의 격돌은 파티 전체에게 매우 큰 피해를 가하지만, 단타로 끝나기 때문에 사실 단일로는 생존기를 쓸 필요까지는 없을 수 있다. 다만 다른 유닛의 스킬이 차단되지 않고 같이 들어올 경우 갑자기 재미없어지므로, 힐러는 항상 파티의 체력을 빠르게 채울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공포의 포효는 간단한 범위 기술이므로 꼭 피할 것.
- 항만의 시궁쥐단 해적단원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2546
-> 바나나 광란은 피해량보다도 주위에 바나나를 남긴다는 것이 더 성가시다. 바닥에 깔린 바나나는 주변 나무로 인해 가려져서 잘 보이지 않으므로 주의할 것.
- 항만의 시궁쥐단 강탈자 (차단 필수, 질병)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454440 (차단 가능, 질병)
-> 무작위 대상에게 사용하는 고약한 구토의 첫 타는 그리 아프지 않지만 누적 피해량이 상당하여 필요 시 생존기를 켜야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 순위 자체는 물화살보다도 더 우선되지만, 시전 빈도는 낮은 편이므로 CC로 잠깐 끊어서 시간을 벌 수 있다.
- 항만의 시궁쥐단 폭풍우소환사 (차단 필수, 마법)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2581 (차단 가능)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72571 (차단 가능, 마법)
-> 숨막히는 물은 거의 대부분 힐러를 노리고 사용하는데, 침묵의 지속시간이 매우 긴 편이라 상황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으므로 최우선으로 차단할 것. 물화살도 매우 아프지만 숨막히는 물이나 고약한 구토보다는 덜 위험하므로 차단 및 CC는 우선순위를 생각하고 신중하게 사용할 것.
- 항만의 시궁쥐단 자객 (질병)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2588 (질병)
-> 질병 해제가 없을 경우 해당 구간에서 매우 위협적인 탱버스터 유닛. 썩어가는 상처는 치유 감소 효과 및 누적 피해량도 상당한데다 중첩까지 되므로 탱은 그 즉시 가장 강력한 생존기를 켜서 지속시간 내내 어떻게든 살아남아야 하며, 힐러도 밑 빠진 독에 물을 더 퍼붓는 심정으로 탱을 최대한 살려내야 한다. 물론 질병 해제가 가능한 경우 갑자기 별 볼일 없는 유닛으로 전락하게 된다.
- 애쉬베인 저격수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2528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72542
-> 해당 구간에서 가장 까다로운 궁수 유닛. 4명의 저격수가 한 번에 발사하는 사격 및 톱날 유탄은 해당 던전에서 가장 위협적인 스킬로 악명이 높다. 따라서 파티가 가지고 있는 광역 CC를 순차적으로 퍼부어 이들의 공격을 최대한 방해해야 하며, 또한 표기되지 않았지만 톱날 유탄은 투사체가 튕기는 효과가 있어서 대상과 주위를 모두 공격하므로 파티원들은 서로 산개해있어야 한다.
여기까지 힘들게 진행해온 파티를 붕괴시키는 가장 악질적인 유닛이므로, 17번 풀은 은폐의 장막이나 사제의 정신의 위안, 또는 투명 물약을 이용해 패스하는 것을 강력히 추천한다.
- 애쉬베인 침략자 (독)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5835 (독)
-> 탱을 아프게 때리는 탱버스터 유닛. 독 해제가 가능하다면 3중첩 이상일 때 해제하면 되며, 만약 해제가 불가능하다면 탱은 생존기를 사용하던가 독을 칠하는 것을 보고 바로 드리블을 쳐야 한다.
- 애쉬베인 파괴자 (격노)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2888 (격노)
-> 탱버스터 유닛이긴 한데 침략자에 비해선 위험도가 낮은 편이며, 애초에 개체수가 별로 없는데다 야성은 중첩도 되지 않아서 존재감이 없다. 혹시 격노 해제가 불가능하다면 필요 시 탱이 드리블을 치는 것으로 대응하면 된다.
22. 하달 다크패덤 (보스)
패턴이 단 3개밖에 없어 극도로 단순하지만, 파티 전체에게 피할 수 없는 피해가 지속적으로 들어오므로 생각보다 귀찮은 보스다.
또한 각 스킬의 쿨다운이 미묘하게 달라 타임테이블이 엇박으로 돌아가며, 또 한 번은 위험한 스킬이 연속으로 들어오므로 탱은 해당 타이밍을 반드시 숙지하고 위치를 잘 잡을 것. 각 스킬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57882
-> 전투 시작 7초, 쿨다운 20초. 간단한 바닥 스킬이지만 분출 시 파티 전체에 매우 큰 피해를 입히는 스킬이므로 필요 시 꼭 생존기를 사용할 것.
또한 이로 인해 짠물 웅덩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만약 웅덩이가 전장 가운데에 있는 동상 근처에서 생성되면 이후 굽이치는 파도를 피할 때 큰 방해가 되므로 모든 파티원들은 평소엔 동상에서 조금 거리를 두고 자리를 잡는 것이 좋다.
참고로 생성된 웅덩이는 굽이치는 파도에 의해 모두 제거된다.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57862
-> 전투 시작 12초, 쿨다운 22초. 현재 대상을 바라보고 사용하는 스킬이므로 탱은 항상 보스의 고개를 구석으로 향하도록 돌려줄 것. 평소엔 그다지 위협적인 스킬이 아니지만, 굽이치는 파도와 같이 들어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땐 모두가 정말 조심해야 한다.
다) https://www.wowhead.com/ko/spell=276068
-> 전투 시작 23초, 쿨다운 48초. 2회에 걸쳐 무작위로 한 쪽에서 파도를 소환하는데, 파도는 전장 전체를 휩쓸기 때문에 모든 파티원들은 반드시 전장 가운데에 있는 동상 뒤에 숨어서 파도를 피해야 한다. 사실 파도 자체는 익숙해지면 피하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지만, 세 번째 굽이치는 파도 이후 곧바로 밀어닥치는 물결이 들어올 때가 바로 이 전투에서 가장 위험한 타이밍이 된다. 이 경우 탱은 파도를 피하더라도 보스가 바라보는 방향을 계속 외곽으로 조정해서 다른 파티원들이 굽이치는 파도와 밀어닥치는 물결 둘 다 피할 수 있는 각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스킬 타임테이블 : 가)-나)-다) 이후 쿨다운마다 사용.
쿨다운이 제각각 따로 돌기 때문에 그냥 보스 마음대로 스킬을 사용한다는 느낌이다. 힐러와 딜러들은 약 20초마다 들어오는 가)에 대비하면서 생존기를 잘 배분해둘 것.
23. 비크고스 (보스)
보스와 직접 싸우는 것이 아니라 전장 내 두 개의 촉수를 제거하고 대포를 발사한 뒤 시계 방향으로 전장을 계속 옮기면 되는 전투다. 지속적으로 파티에 상당한 피해가 누적되며, 특히 무작위 두 명에게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여기선 마법을 해제할 수 있는 딜러인 흑마법사가 대활약을 펼칠 수 있다. 각 스킬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가) https://www.wowhead.com/ko/spell=274991 (마법)
-> 전투 시작 3초, 쿨다운 24초. 무작위 두 명의 대상에게 사용하는 이 전투에서 가장 위협적인 스킬로, 힐러는 즉시 한 명을 해제하고 나머지 한 명은 해제 쿨다운이 오면 바로 해제해야 한다. 만약 파티에 흑마법사가 있다면 힐러가 먼저 해제하고, 흑마법사가 남은 한 명을 바로 해제하는 편.
해제 순서가 뒤로 밀린 대상은 지속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게 되므로 그동안 힐러가 치유를 퍼붓거나 생존기를 사용하여 어떻게든 버텨야 하는데, 보통 해제 우선순위는 생존이 어려운 딜러->힐러->생존이 쉬운 딜러->탱 순으로 잡는 것이 좋다.
다만 썩은 물은 해제 시 대상 주위에 즉사에 가까운 피해를 입히므로 힐러는 대상을 해제할 때 주변에 다른 파티원이 있는지 꼭 확인해야 하며, 기본적으로 모든 파티원들은 서로 항상 약간의 거리를 두어 산개해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할 것.
참고로 썩은 물은 투사체가 날아오는 속도가 매우 느린 편이라 대상을 어느 정도 미리 알 수 있으므로 대마법 보호막과 같은 마법 면역 스킬을 빠르게 사용하여 아예 차단하는 순수 실력을 선보일 수도 있다.
나) https://www.wowhead.com/ko/spell=270185
-> 전투 시작 6초, 쿨다운 24초. 무작위 대상이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매우 넓은 부채꼴 범위를 공격하는 바닥 스킬인데, 다만 심연의 부름이 실제로 발생하는 위치는 어느 정도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장마다 심연의 부름이 닿지 않는 안전한 장소가 몇 군데 있긴 하다. 이를 눈여겨보았다가 잘 활용할 것.
다) 파괴의 공포
다-1) https://www.wowhead.com/ko/spell=269266
다-2) https://www.wowhead.com/ko/spell=270590
-> 전투 시작 8초, 쿨다운 18/13/10초. 내려치는 파티 전체에 상당한 피해를 입히는 매우 성가신 스킬이지만, 다행히 넉백 없이 순수하게 피해만 들어오므로 힐러가 대처하기엔 그리 어렵지 않다.
다만 전장이 진행될수록 내려치기의 쿨다운이 점점 줄어든다는 점은 꼭 기억할 것. 전장을 옮겨 다닐수록 이상하게 회복이 더 어려워지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으며, 또한 썩은 물과 내려치기가 겹치는 타이밍엔 생존이 매우 어려워지므로 대상자는 이 때 반드시 생존기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선체 분쇄자는 근접 거리에 아무도 없을 때에만 시전하는 전멸기이므로 탱은 파괴의 공포가 살아있는 동안엔 절대 자리를 이탈하지 않아야 하는데, 만약 심연의 부름 때문에 잠시 자리를 벗어나야 될 경우엔 꼭 도발을 사용하여 파괴의 공포의 시선을 계속 붙잡아두어야 한다.
라) 옭아매는 공포
라-1) https://www.wowhead.com/ko/spell=269416
-> 옭아매는 공포 자체에는 어떤 공격 능력도 없으나, 대포를 수리할 기술자가 붙잡혀 있으므로 어쨌든 제거 대상이 된다.
다만 옭아매는 공포를 먼저 제거한다고 해도 파괴의 공포가 아직 전장에 남아있다면 대포를 발사할 수가 없으므로, 내려치기로 계속 심각한 피해를 주는 파괴의 공포를 먼저 제거하고 이후에 옭아매는 공포를 공격하는 것이 올바른 순서가 된다.
마) https://www.wowhead.com/ko/spell=279897
마-1) https://www.wowhead.com/ko/spell=270624
-> 물에 너무 오래 빠져있으면 분쇄의 포옹에 걸려 사망하게 되니 주의할 것. 참고로 수면 보행은 여기서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스킬 타임테이블 : 가)-나) 반복. 다)는 독립시행.
가)를 해제하는 것이 전투의 핵심이므로 생존기 배분을 잘 해야 살아남을 수 있으며, 혹시 해제를 두 명이 할 수 있게 되면 전투가 급격히 쉬워지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